본문 바로가기
SAP FI module/GL Account

FBL3N 대신 FAGLL03을 쓰세요! 차이점 정리

by 쌥쌔비 2025. 2. 26.

🔍 FBL3N vs FAGLL03:

SAP FI module에서 G/L 계정 원장 조회의 차이

 

📌 FBL3N과 FAGLL03의 기본 개념

SAP FI 모듈에서 G/L 계정의 상세 내역을 조회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두 가지 트랜잭션 코드가 FBL3NFAGLL03입니다. 두 T-Code는 비슷해 보이지만, 적용 범위와 제공되는 기능에서 차이가 있습니다.

 

🔹 FBL3N: G/L 계정 개별 원장 조회

  • G/L 계정별 개별 전표 원장을 조회할 때 사용
  • 단일 전표 수준에서 데이터 확인 가능
  • 일반적으로 클래식 G/L 환경에서 많이 사용됨
  • 회계문서(Document)를 기반으로 조회

🔹 FAGLL03: 새로운 G/L 환경에서의 원장 조회

  • 신(新) G/L(New G/L) 환경에서 사용
  • Entry view/ G/L View 두가지 제공
  • 다양한 차원(Profit Center, Segment, Functional Area 등)으로 분석 가능
  • 문서뿐만 아니라 보조 원장까지 함께 조회 가능
  • 기존 G/L(FBL3N)보다 확장된 기능을 제공
  • Sales Order, Cost Center 등의 상세한 문서 항목도 함께 조회 가능
  • Document Splitting 기능을 활용하여 계정 데이터를 더 세분화하여 분석 가능
  • Parallel Accounting을 지원하여 IFRS 및 Local GAAP 기준에 맞춘 보고 가능

📊 FBL3N vs FAGLL03 비교표

기능 FBL3N FAGLL03
사용 목적 개별 원장 조회 확장된 원장 조회
G/L 유형 클래식 G/L New G/L
조회 기준 회계문서 기반 문서 + 보조 원장
추가 분석 기능 제한적 Profit Center, Segment, Cost Center 분석 가능
세부 문서 항목 제한적 Asset number, sales document 등의 세부 항목 포함
Document Splitting 지원 불가능 가능
Parallel Accounting 지원 불가능 가능

📌 언제 FBL3N을 사용하고 언제 FAGLL03을 사용해야 할까?

✅ FBL3N을 사용해야 할 때:

  • 단순한 회계 문서 기반 조회가 목적일 때

✅ FAGLL03을 사용해야 할 때:

  • Profit Center나 Segment를 기준으로 분석해야 할 때
  • New G/L 환경에서 확장된 데이터를 조회할 때
  • 여러 차원에서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상세한 재무 분석이 필요할 때
  • 보조 원장(Line Item Display)까지 포함하여 데이터를 조회하고 싶을 때
  • Asset, Asset subnumber, Sales Order(sales document) 등 세부 항목까지 조회해야 할 때
  • 다중 회계 기준(Parallel Accounting)을 적용해야 할 때
  • IFRS 및 Local GAAP 등 다양한 회계 기준을 적용한 데이터를 보고해야 할 때

 

📌 결론

결론적으로, FAGLL03은 기존 FBL3N보다 확장된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더욱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특히 New G/L 환경에서 다양한 차원 분석, 실시간 데이터 처리, Document Splitting 및 Parallel Accounting 기능을 활용할 수 있어 복잡한 재무 데이터를 보다 정밀하게 관리하고 보고할 수 있습니다.


🔗 관련 글 보기

Asset, Asset subnumber, Sales Order(sales document) 

FAGLL03의 GL View 화면